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봄철 주의해야할 피부질환

이제 날씨가 많이 풀리고 따듯해 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지구 온난화로 우리나라의 봄이 점점 짧아지고 있다곤 하지만 봄이 되면 꽃도 많이 피고 날씨도 덥지않게 따듯해 모두가 좋아하는 계절임은 분명합니다. 


봄에는 일교차가 커지며 본격적으로 자외선의 양이 증가하기 시작하는데요. 또한 황사나 꽃가루등이 많이 날리는 계절이기 때문에 피부건강에 더욱 유의해주셔야 합니다.




혹시 햇볕을 오래 보면 피부에 알러지같은 것들이 올라오거나 가렵거나 하신 적이 있으신가요? 


그렇다면 광과민성 피부를 의심해 보셔야 합니다. 광과민성 피부란 태양광에 피부가 예민하게 반응해 가려움증이나 알러지등을 발생시키는 피부를 말하는데요, 주로 야외활동이 많아지기 시작하는 초봄부터 여름 사이에 많이 발생하고 가을에서 겨울로 넘어가게 되면 증상이 많이 나아지게 됩니다.




광과민성 피부는 태양빛에 노출되게 되면 노출 부위에 붉은 반점, 두드러기, 발진이나 수포등이 생기기도 하는데요. 태양광 노출 후 바로 생기기도 하지만 하루 뒤나 이틀 뒤에 이런 증상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또한 자외선의 양이 증가하면서 얼굴에 기미나 잡티가 늘어나는 시기가 바로 봄철이기도 합니다.




겨울에는 추운 날씨탓에 실내활동을 주로 하고 두꺼운 옷으로 온몸의 피부를 가리고 다니다 보니 전체적으로 피부의 멜라닌 색소량이 감소하게 됩니다. 우리 피부의 멜라닌 색소는 천연 자외선차단제 역할을 하는데요. 


렇게 멜라닌색소가 줄어든 상태에서 강한 햇볕을 받게 되면 우리 피부는 더 쉽게 자외선에 의한 손상을 받습니다. 따라서 봄철 야외활동을 할때는 꼭 자외선 차단제를 발라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최근에는 봄 뿐만 아니라 계절에 상관없이 황사와 미세먼지가 한반도를 괴롭히고 있는데요. 그래도 봄철에 더욱 기승을 부리는 황사에는 모래먼지 뿐만 아니라 납이나 카드뮴과 같은 우리몸에 굉장히 유해한 중금속들도 다량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더더욱 황사를 조심해야 하는데요. 




황사에 들어있는 이런 유해물질이 피부에 묻게되면 접촉성 피부염이나 알레르기성 피부염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또한 그 크기가 굉장히 작기 때문에 쉽게 사람의 모공속에 남아있게 되는데요. 여드름이나 가려움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꽃이 많이 피게 되면 생기는 꽃가루 역시 알레르기성 피부염을 발생시키고 특히 아토피성 피부염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에게 굉장히 안좋은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항상 일기예보를 확인하여 황사가 심한 날에는 외출을 삼가시거나 마스크, 긴팔옷 등으로 피부를 보호해 주는 것이 좋으며

집에 돌아운 후에는 꼭 깨긋이 바깥에서 뭍혀온 먼지를 씼어내는 것이 중요합니다.